낚시기초 배스가 루어를 공격하는 이유
- 카테고리 없음
- 2018. 6. 13.
낚시기초 배스가 루어를 공격하는 이유
1.먹기위해서(feeding) 배스는 살아 있거나 움직이는 대상을 먹이감으로 인식하기 때문에 공격합니다.먹고 싶어하는 먹이와 닮은 루어를 보면 배스는 서슴없이 공격할 것입니다.
2.궁금해서(curiosity) 루어와 일정한 간격을 두고 따라오는 경우가 간혹 있읍니다.이 때 배스는 루어가 실제 먹이가 아니라는 것을 알고 있으면서도 호기심을 느꼈기 때문입니다.루어로 배스의 호기심을 자극하고 입질로 이어지게 하는 것입니다.
3.방어(protective instinct) 배스는 산란 후 수컷이 산란장을 보호하는 특성이 있읍니다.산란장 주위에 루어를 투입하면 루어를 공격합니다.이때는 적으로 인식하는 대상을 입으로 쪼거나 물고 산란장 밖으로 뱉어 버리는 식의 행동입니다.
4.반사동작(reaction bite) 식욕과 같은 생리적인 욕구를 배제한 공격본능입니다. 신경계통의 조건 반사의 일종으로 배스의 입질은 규칙적인 움직임이 계속되는 루어보다는 루어가 멈추거나 다시 움직이기 시작할때 집중됩니다.이러한 행동을 유도하기 위해서는 루어의 움직임을 고려해야 합니다.
5.그밖의 이유 화가 나서,경쟁상대로서,살생 본능,덩달아,공포에 대한 역습 등
배스의 어떻한 포식 습성(feeding habits)을 가지고 있을까요?
배스는 먹이감을 아가미와 입을 크게 벌려 입안에 역압(negative pressure)을 만들어 흡입력 (suction power)으로 빨아들입니다. 배스는 먹이를 삼키기 전에 이물감이 느껴지면 곧바로 뱉어 버리는데 이는 매우 빠른 동작이므로 배스의 입질을 민감하고,빠르게 감지하지 못하면 훅(hook)세팅 시기를 놓치기 쉽습니다.
또한 배스는 아주 복잡하고 두꺼운 장애물이 있은 그늘에서 많은 시간을 소비합니다. 배스 연구용 대형 수조에서의 실험에 의하면 50cm 내에서 먹이를 공격할 때 60~80%는 성공한다고 합니다. 그러나 공격 가능한 거리가 길수록 또한 장애물(cover)이 무겁고 두꺼울수록 이 성공률은 낮아집니다.
1.살금살금 접근하기(stalking) 먹이를 발견하면 살그머니 접근한 다음 갑자기 공격합니다.
2.돌진하기(running) 고활성시의 배스는 표적인 먹이감에 대해 집요합니다.여러 배스가 동시에 먹이군을 포위해서 공격하기도 합니다.
3.어슬렁거리기(habituation) 먹이 근처에서 관심이 없는 듯 배회하다가 부주위한 틈을 타 공격합니다. 이때는 병들거나 상태가 좋지 않은 먹이를 노리며 포획에 실패하더라도 더 이상 추적하지 않습니다.
4.매복(ambush) 비활성시의 배스나 경계심이 대단히 많은 대물 배스는 장매물 속에 은신하다가 지나가는 먹이를 공격합니다.